기자명 고종관기자
  • 입력 2018.06.19 16:40

세브란스 김도영 교수, C형간염 사회경제적 부담 연구결과 발표

[뉴스웍스=고종관기자] C형간염을 국가검진에 포함시켜 조기치료를 통한 국민건강 증진과 의료비 절감을 도모하자는 의견이 제시됐다.

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은 소화기내과 김도영 교수(사진)가 14~16일 서울에서 열린 ‘The Liver Week 2018’ 국제 간연관심포지엄에서 C형간염 환자의 사회경제적 부담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환자의 조기 발굴의 필요성을 역설했다고 19일 밝혔다.

김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C형간염 항체검사가 지금처럼 국가검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2030년까지 ‘누적환자 및 사망자수’는 간경변증은 1만8829명, 간암은 2만4084명이며, 이로 인한 간이식 대상자는 798명, 간질환 관련 사망자는 1만8640명에 이를 것으로 집계했다.

현재 국내 C형간염 환자 수는 약 30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 이중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는 15~23% 수준인 4만5000명~7만명 수준이다. C형간염은 초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어 방치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올해부터 C형간염을 국가검진으로 의무화할 때는 어떤 효과가 있을까. 김 교수는 ‘누적환자 및 사망자 수’가 간경변증 환자는 3950명, 간암은 5750명 수준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또 이로 인해 간이식 대상환자도 275명, 간질환 사망자는 4679명 수준으로 줄 것이라고 예측했다.

김 교수는 국가검진 의무화를 1년씩 늦췄을 때의 효과도 분석했다. 2019년부터 C형간염을 국가검진에 포함시키면 간질환 사망자수는 6082명, 2020년 시행 시에는 7437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검진 시행시기가 늦춰지면 질수록 누적환자 수가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C형간염은 B형간염과 달리 예방백신이 없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다. 다행히 간단한 항체검사(HCV antibody test)를 통해 진단이 가능하고 검사비도 저렴하다.

좋은 치료제도 나와 있다.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하기 전 8~12주 약을 복용하면 완치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30년까지 C형간염을 완전 퇴치한다는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김 교수는 “국내 C형간염 유병률은 5%가 안 되지만 질병의 경과가 빠르고, 치명적인 것을 고려하면 조기진단만이 최선의 답”이라고 말했다. 김교수는 또 "C형간염은 혈액을 매개로 한 감염질환이므로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고, 감염 경로에 대한 통제도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국가검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로 리버위크(Liver Week) 행사에서 ‘최우수 구연상’을 수상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