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18.03.22 09:26

고형권 차관 "급격한 외국인 자본유출 가능성 크지 않다"

제롬 파월 의장 <사진=FOMC 홈페이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10년 반 만에 한국과 미국 간 기준금리가 역전됐다. 이에 정부 당국도 빈틈없는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21일(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정책금리를 연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로써 미국 기준금리는 연 1.50~1.75%로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1.50%보다 높아졌다. 다만 이미 인상 가능성이 파다했던 만큼 시장에 충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 연준은 금리인상 횟수를 3회로 유지했다. 그간 4회 인상 가능성이 대두됐지만 유지키로 한 것이다.

소재용 하나금융투자 팀장은 “3월 FOMC에서 올해 경제성장 전망을 기존 2.5%에서 2.7%로 샹향 조정하는 등 미국 경제에 대한 기대감과 자신감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무역 관련 정책적 불확실성이 내포돼 있지만 경기침체 가능성을 비교적 낮게 평가하고 있다는 파월 의장의 발언도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한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물가전망은 지난 12월의 1.9% 그대로 유지했다”며 “만일 물가에 대한 경계감이 높아지면 6월 이후에 연 4회로 올릴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구혜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향후 통화정책 속도는 결국 물가에 달려있음을 재확인하는 회의였다”며 “연준 위원들은 올해 기준금리전망을 2.1%로 유지했으나 2019년과 2020년은 각각 2.9%, 3.4%로 상향조정했다”고 말했다.

고형권 차관 <사진=기획재정부>

한편, 기획재정부는 22일 고형권 1차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FOMC 결과 및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고 차관은 “FOMC 기준금리 인상 이후 뉴욕시장 주가는 약보합세로 마감했으며 미 국채금리는 하락하고 달러화는 약세를 시현했지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적”이라며 “시장이 이미 예상하고 향후 금리인상 속도에 대해 연준이 비교적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미국의 급격한 금리인상에 대한 시장 우려는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경계심을 늦춰서는 안 된다”며 “일각에서는 10년 반 만에 금리가 역전되면서 외국인 자금 유출 우려도 제기된다”고 지적했다.

고 차관은 “외국인 자본유출입은 내외금리차 이외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며 “특히 우리나라에 투자된 외국인 자금의 약 85%를 차지하는 주식자금은 국내경기 상황과 기업실적 전망 등에 좌우된다”고 설명했다.

또 “나머지 15%인 채권자금은 주로 주요국 중앙은행이나 국부펀드 등 중장기 투자자들로 구성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급격한 자본유출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판단했다.

정부는 미국 등 주요국 경제상황과 통화정책 기조 변화 가능성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최근 보호무역주의 움직임과 남북·북미 정상회담 결과 등이 시장이 미치는 영향도 예의주시할 방침이다.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에는 사전에 마련한 대응계획에 따라 적절한 시장안정 조치를 적기에 시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