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양민후 기자
  • 입력 2017.12.15 17:01

보건사회연, 낙후된 주거지역일수록 사망률 높아

국민건강영양조사(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0-2015년)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임. <자료=한국보건사회연구원>

[뉴스웍스=양민후 기자] 교육과 소득 수준 등이 낮은 사람이 건강불평등을 경험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의 건강불평등에 대한 인식률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15일 발표한 ‘건강 불평등 현황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교육과 경제 수준이 낮을수록 음주·흡연·운동부족 등 나쁜생활습관을 3가지 이상 가진 사람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거지역에 따른 건강불평등도 존재했다. 다른 지역과 비교해 주거시설이 낙후되고 경제와 교육 수준이 낮은 곳(지역박탈지수가 높은 지역)이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박탈지수가 높은 곳은 사망률이 인구 10만 명 당 412.2명이었지만 낮은 지역은 341.3명으로 조사됐다. 또 적절한 치료를 적시에 받았을 시 사망을 피할 수 있는 ‘회피가능사망률’은 160.8명(낮은 지역 114.1명), 예방 할 수 있는 ‘예방사망률’은 135명(95.4명)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연구원이 전국 20대 이상 성인 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 67.7%가 사회계층·지역 간 건강불평등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건강불평등의 존재'에 대한 인식률에는 교육·연령·소득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학력별로는 대졸이상의 인식률이 71%로 가장 높았고 고졸 이하는 67.9%였다. 연령별로는 20대가 74%였고 그 다음 30대가 72%였다. 소득수준별로는 월 501만 원 이상(76.9%)이 가장 높았고 401~500만 원(70.4%), 301~400만 원(65.5%) 순이었다.

사회연구원 보건의료연구실 김동진 부연구위원은 “소득과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이 본인들이 겪는 건강불평등에 대해 무감각한 것으로 조사됐다”며 "이들의 인식률을 높여야 변화의 목소리가 커진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